이득우의 게임수학

    [책으로 배우는 게임 수학] 이득우의 게임 수학 - 수 (2), 함수

    본 포스트는 "이득우의 게임 수학"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이득우의 게임 수학 - https://www.onlybook.co.kr/entry/gamemath 함수함수 (Function) : 두 집합에서, 첫 번째 집합의 모든 원소가 빠짐없이 두 번째 집합의 어떤 원소에 대응하는 관계   함수의 개념과 종류 두 집합을 X, Y로 지칭하고,집합 X의 원소를 x, 집합 Y의 원소를 y라고 할 때,X에서 Y로 대응되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$$ y=f(x) $$  함수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음 두 규칙이 성립해야 한다첫 번째 집합의 모든 원소에 대한 대응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첫 번째 집합의 원소는 두 번째 집합의 한 원소에만 대응되어야 한다 이렇게 두 집합이 각각 가져야 하는 조건이 다르므로, 함수..

    [책으로 배우는 게임 수학] 이득우의 게임 수학 - 수 (1), 수와 집합

    본 포스트는 "이득우의 게임 수학"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이득우의 게임 수학 - https://www.onlybook.co.kr/entry/gamemath 수와 집합 집합 : 서로 구분되는 원소로 구성된 묶음 → 소박한 집합론소박한 집합론은 용도에 따라 수집합을 정의해서 구분한다ex) 자연수, 정수, 유리수, 실수, 복소수, 사원수 등 …but, 소박한 집합론은 인간의 언어로 집합을 정의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관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 그러나 우리는 앞으로 수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, 이를 확장해 가상 공간이라는 고차원의 세계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집합의 성질을 참과 거짓으로 명확하게 구분해 줄 수 있는 명제가 필요하다 명제 중에서는 증명할 필요가 없는 기본 명제를 공리라고 한다→ 이 공리를 기반으로..